본문 바로가기

설계서

(4)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경우 설계변경 일반적인 설계변경 통상적인 설계변경이라 함은 설계서와 현장 상태가 상이하여 설계서를 현장 상태에 따라 변경하는 조치를 말한다. 즉 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사와 상이하여 발생되는 설계변경은 설계변경 사유 중 가장 기본적인 사유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장 상태라 함은 지연적인 상태와 인위적인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적인 상태란 지질, 용수 등 본연적인 지질학적 구조를 의미하며, 인위적인 상태란 지하에 매설된 지장물 등 구조물을 의미한다. "기본설계 등에 관한 세부기준"에 의하면 설계 전에는 반드시 지질조사를 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지하매설 지장물 도면 등을 참고토록 하고 있다.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38조의 9에 의한 기본설계 등에 관한 세부 시행기준 발주기관은 기본설계 또는 실시설계를 ..
설계서와 관련한 기타 서류 설계서와 관련한 기타 서류는 수량산출서,단가산출서,일위대가표가 있다. 1. 수량산출서 발주기관은 설계내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각 공종별로 설계도면 등을 기중으로 수량을 산출하고 단위당 투입되어야 하는 재료와 노무의 수량을 표준품셈을 적용항 산출하게 된다. 터파기 공종을 예로 들면 설계도면 등을 기준으로 총 몇 >㎥를 터파기 할 것인지를 산출한 다음 건설공사표준품셈에 의하여 1㎥당 투입되는 재료, 노무량을 산출하고 이를 총수량에 곱하면 터파기 공종에 투입될 재료, 노무량 등이 산출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작성된 도서를 수량산출서라고 한다. 2. 단가산출서 공종별 재료비, 노무비 직종 및 투입량이 정해지면 공인 가격인 조달청 가격정보, 물가정보지 상의 거래실례가격 또는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하는 건설공사 시..
설계서 종류 설계서의 종류는 공사시방서, 설계도면, 현장설명서 및 공종별 목적물 물량내역서 설계서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설계변경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설계변경이란 적정한 시공을 위하여 설계서의 내용을 변경하는 행위를 표현하는 말이다. 따라서, 설계변경 업무와 관련해서는 설계서에 대한 정의 및 공사종류별 설계의 종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만 특정 설계변경 사유가 발생된 경우 공사의 종류별로 설계변경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이에 따라 계약금액 조정이 가능한 지 여부 등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1.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과 공사 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기관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
설계서 설계서 작성은 기획단계와 설계단계로 구분 기획단계에서는 사업구상, 타당성조사, 기본계획 수립 및 발주방식의 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설계단계에서는 측량, 지반조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작성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설계서 작성 국가기관이 발주하는 공사의 준비과정 즉, 설계서 작성 등에 관한 사항은 대부분 [건설기술관리법령]에 정하고 있다. 설계서 작성 과정은 크게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기획단계와 설계단계로 이루어지며, 실질적으로 설계도면 등 설계서는 설계단계에서 작성된다. 기획단계에서는 사업구상, 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 및 발주방식의 결정 등의 업무가 수행되며, 설계단계에서는 측량, 지반조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작성 등의 업무가 수행된다. 1.1 공사발주를 위한 기획단계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