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7

설계도면

설계도면의 정의와 제도의 분류 및 설계도면의 작성 설계도면은 시공될 공사의 성격과 범위를 표시하고 공사 목적물의 모양과 크기를 일정한 축적에 따라 점, 선, 기초, 문자 및 숫자 등으로 표현한 도서로서 공사비 계산의 기준이 되며 현장 시공에 있어 기본도로 사용하는 도면을 말하는데 설계자의 의도를 제삼자에게 정확하고 쉽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제도의 분류 1.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계획도 : 구체적인 설계에 들어가기 전에 계획자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도 설계도 : 표준시방서 설계기준 및 설계자의 경험에 따라 합리적이며 경제적이고 시공성, 공사비, 재료의 물량 산출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도 : 제작에 사용되는 도면으로 설계자의 의도를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면 시공도 : 현..

Work 2022.07.01

설계서 내용의 불분명 등에 따른 설계변경

설계변경 사유중 설계서 내용의 불분명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9조 제1항 제1호에는 첫 번째 설계변경 사유로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할 경우, 설계서에 오류나 누락된 사항이 있을 경우, 설계서간에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을 경우를 각각 규정하고 있다. 즉 설계서에 하자가 있을 경우 적정 시공을 위해서는 설계서의 내용을 바르게 변경하여야 하므로 설계서 내용의 변경 즉 설계변경이 발생되는 것이다. 1.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라 함은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9조의2제2항 제1호에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설계서(설계도면, 공사시방서 등)의 내용이 불분명하여 시공방법 또는 투입 재료 등을 확정할 수 없어 설계서의 기초자료인 수량산출서, 단가산출서, 일위대가표를 검토하거나 설계자..

Work 2022.06.19

설계서와 관련한 기타 서류

설계서와 관련한 기타 서류는 수량산출서,단가산출서,일위대가표가 있다. 1. 수량산출서 발주기관은 설계내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각 공종별로 설계도면 등을 기중으로 수량을 산출하고 단위당 투입되어야 하는 재료와 노무의 수량을 표준품셈을 적용항 산출하게 된다. 터파기 공종을 예로 들면 설계도면 등을 기준으로 총 몇 >㎥를 터파기 할 것인지를 산출한 다음 건설공사표준품셈에 의하여 1㎥당 투입되는 재료, 노무량을 산출하고 이를 총수량에 곱하면 터파기 공종에 투입될 재료, 노무량 등이 산출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작성된 도서를 수량산출서라고 한다. 2. 단가산출서 공종별 재료비, 노무비 직종 및 투입량이 정해지면 공인 가격인 조달청 가격정보, 물가정보지 상의 거래실례가격 또는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하는 건설공사 시..

Work 2022.06.18

설계서 종류

설계서의 종류는 공사시방서, 설계도면, 현장설명서 및 공종별 목적물 물량내역서 설계서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설계변경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설계변경이란 적정한 시공을 위하여 설계서의 내용을 변경하는 행위를 표현하는 말이다. 따라서, 설계변경 업무와 관련해서는 설계서에 대한 정의 및 공사종류별 설계의 종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만 특정 설계변경 사유가 발생된 경우 공사의 종류별로 설계변경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이에 따라 계약금액 조정이 가능한 지 여부 등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1.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과 공사 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기관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

Work 2022.06.18

설계서

설계서 작성은 기획단계와 설계단계로 구분 기획단계에서는 사업구상, 타당성조사, 기본계획 수립 및 발주방식의 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설계단계에서는 측량, 지반조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작성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설계서 작성 국가기관이 발주하는 공사의 준비과정 즉, 설계서 작성 등에 관한 사항은 대부분 [건설기술관리법령]에 정하고 있다. 설계서 작성 과정은 크게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기획단계와 설계단계로 이루어지며, 실질적으로 설계도면 등 설계서는 설계단계에서 작성된다. 기획단계에서는 사업구상, 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 및 발주방식의 결정 등의 업무가 수행되며, 설계단계에서는 측량, 지반조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작성 등의 업무가 수행된다. 1.1 공사발주를 위한 기획단계 진행 ..

Work 2022.06.17

계약의 종류

계약의 종류 총 6가지와 낙찰자 결정방법 계약의 종류는 일반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 수의계약, 국제입찰, 조달계약으로 구분할 수 있고, 낙찰자 결정방법은 적격심사낙찰제(공통), 종합낙찰제(구매), 2단계 경쟁입찰(구매, 용역), 종합심사낙찰제(공사), 협상에 의한 계약(구매, 용역)으로 나뉘어 집니다. 공기업의 계약은 계약방법+낙찰자 결정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계약방법 1.1 일반경쟁입찰 국가계약법 제7조 제1항에 의거하여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입찰참가자의 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는 일반경쟁을 기본으로 한다. 단, 시행령 제12조에 따른 참가자격의 제한은 일반경쟁의 범주로 인정한다. 1.2 제한경쟁입찰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21조 제1항에 의거하여 계약의 목적 , 성질, 규모 등을..

Work 2022.06.14

입찰 및 계약 용어 설명

기본 계약용어에 대해 먼저 시작 기본 계약용어는 계약방법, 낙찰자 결정방법, 낙찰하한율, 추정가격, 사정금액, 예비가격 기초금액, 예정가격, 부정당제재, 입찰보증금, 하자보증금, 선급금을 소개하고, 순차적으로 계약의 종류, 입찰절차, 계약에 필요한 서류, 공개입찰에 필요한 계약조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계약 방법 정부기관, 공기업 또는 공공기관이 타인과 계약을 체결할 때 (각종 관계법령에서 허용하는) 계약 당사자를 결정하는 방법을 말하는 용어입니다. 일반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 수의계약, 국제경쟁입찰, 조달계약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2. 낙찰자결정방법 계약방식 외에 여러 입찰자 중 특정 계약상대자를 공정하게 결정하는 방식을 일컫는용어이다. 다양한 제도가 허용하는 방식에 따라 제한..

Work 2022.06.13
반응형